2016년 AFC U-23 챔피언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6년 AFC U-23 챔피언십은 카타르 도하에서 개최된 23세 이하 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로, 16개 팀이 참가하여 우승팀을 가렸다. 일본이 대한민국과의 결승전에서 승리하여 우승을 차지했으며, 이 대회 상위 3개 팀(일본, 대한민국, 이라크)은 2016년 하계 올림픽 축구 본선에 진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6년 AFC U-23 챔피언십 - 2016년 AFC U-23 챔피언십 예선
2016년 AFC U-23 챔피언십 예선은 총 43개 팀이 참가하여 2016년 AFC U-23 챔피언십 본선에 진출할 15개 팀을 가리는 대회로, 조별 리그를 거쳐 각 조 1위 팀과 2위 팀 중 상위 5개 팀이 본선에 진출하며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남자 축구 아시아 지역 1차 예선을 겸했다. - 2016년 하계 올림픽 축구 예선 - 2015년 UEFA U-21 축구 선수권 대회
1992년 1월 1일 이후 출생 선수들이 참가한 2015년 UEFA U-21 축구 선수권 대회는 체코에서 개최되어 스웨덴이 우승했으며, 2016년 하계 올림픽 남자 축구 유럽 지역 예선을 겸하여 덴마크, 독일, 포르투갈, 스웨덴이 올림픽 출전권을 획득했다. - 2016년 하계 올림픽 축구 예선 - 2016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아시아 지역 예선
2016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아시아 지역 예선은 아시아 축구 연맹 소속 국가대표팀을 대상으로 올림픽 본선 진출팀을 가리는 대회로, 18개국이 참가하여 오스트레일리아와 중국이 본선 진출권을 획득했으며 최종 예선은 일본 오사카시에서 개최되었다.
2016년 AFC U-23 챔피언십 | |
---|---|
대회 정보 | |
대회 이름 | AFC U-23 챔피언십 |
다른 이름 | بطولة آسيا تحت 23 سنة لكرة القدم 2016 |
개최 연도 | 2016년 |
개최 국가 | 카타르 |
개최 기간 | 1월 12일 ~ 1월 30일 |
참가 팀 수 | 16 |
참가 대륙 연맹 수 | 1 |
개최 도시 수 | 2 |
개최 경기장 수 | 4 |
결과 | |
우승 횟수 | 1 |
통계 | |
총 경기 수 | 32 |
총 득점 수 | 103 |
평균 득점 수 | 3.22 |
총 관중 수 | 92447 |
평균 관중 수 | 2,889 |
개인 수상 | |
최다 득점 선수 | 아흐메드 알라엘딘 (6골) |
최우수 선수 | 나카지마 쇼야 |
대회 관련 | |
이전 대회 | 2013 |
다음 대회 | 2018 |
기타 | |
![]() |
2. 개최 도시 및 경기장
2016 AFC U-23 챔피언십은 도하에 위치한 4곳의 경기장에서 개최되었다. 카타르는 우즈베키스탄, 사우디아라비아, 이란을 제치고 개최지로 선정되었다.[1]
도하 | |||
---|---|---|---|
압둘라 빈 칼리파 스타디움 (레크위야 SC 홈 구장) | 그랜드 하마드 스타디움 (알아라비 SC 홈 구장) | 자심 빈 하마드 스타디움 (알사드 SC 홈 구장) | 카타르 SC 스타디움 (카타르 SC 홈 구장) |
수용인원: 12,000 | 수용인원: 18,000 | 수용인원: 15,000 | 수용인원: 15,000 |
2. 1. 경기장 목록
2016년 AFC U-23 챔피언십은 도하와 알라이얀의 네 개 경기장에서 개최되었다.[10]알라이얀 (도하 지역) | 도하 | ||
---|---|---|---|
자심 빈 하마드 스타디움 (알사드 스타디움) | 압둘라 빈 칼리파 스타디움 (렉위야 스타디움) | 그랜드 하마드 스타디움 (알아라비 스타디움) | 수헤임 빈 하마드 스타디움 (카타르 SC 스타디움) |
수용력: 15,000 | 수용력: 12,000 | 수용력: 18,000 | 수용력: 15,000 |
![]() | ![]() | ![]() | ![]() |
2016년 AFC U-23 챔피언십 예선에는 총 43개 팀이 참가했다. 예선 조 추첨은 2014년 12월 4일에 진행되었다.[6] 10개 조의 조별 리그 1위 팀과 각 조 2위 팀 중 상위 5개 팀, 그리고 개최국 카타르가 본선에 진출했다.[7] 예선은 2015년 3월 23일부터 31일까지 진행되었으나,[8] 파키스탄 라호르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B조는 라호르 교회 폭탄 테러로 인해 연기되었다.
3. 예선
3. 1. 본선 진출팀
다음 16개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9]
팀 | 진출 자격 | 출전 횟수 | 이전 최고 성적 |
---|---|---|---|
개최국 | 1회 | 첫 출전 | |
A조 승자 | 2회 | 우승 (2013) | |
B조 승자 | 2회 | 3위 (2013) | |
C조 승자 | 2회 | 준우승 (2013) | |
D조 승자 | 2회 | 8강 (2013) | |
E조 승자 | 2회 | 8강 (2013) | |
F조 승자 | 2회 | 8강 (2013) | |
G조 승자 | 2회 | 조별리그 (2013) | |
H조 승자 | 2회 | 4위 (2013) | |
I조 승자 | 2회 | 8강 (2013) | |
J조 승자 | 2회 | 조별리그 (2013) | |
1위 준우승팀 (G조) | 1회 | 첫 출전 | |
2위 준우승팀 (C조) | 2회 | 조별리그 (2013) | |
3위 준우승팀 (I조) | 1회 | 첫 출전 | |
4위 준우승팀 (D조) | 2회 | 조별리그 (2013) | |
5위 준우승팀 (E조) | 2회 | 조별리그 (2013) |
4. 시드 배정
2016년 AFC U-23 챔피언십 본선 조 추첨은 2015년 9월 12일 카타르 도하에서 진행되었다.[10][11] 시드 배정은 2013년 AFC U-22 챔피언십 성적을 기준으로 하였다.
포트 1 | 포트 2 | 포트 3 | 포트 4 |
---|---|---|---|
5. 선수 명단
1993년 1월 1일 이후 출생한 선수들이 본 대회에 참가할 자격이 있었다. 각 팀은 최대 23명의 선수(그 중 최소 3명은 골키퍼여야 함)를 등록할 수 있었다.[12]
6. 조별 리그
각 조의 상위 두 팀이 8강에 진출했다. 모든 경기는 현지 시간(UTC+3)을 기준으로 한다.[14]
조별 리그에서는 총 4개 조가 편성되어 경기를 치렀다.
A조에서는 일본이 3전 전승으로 1위를 차지했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사우디아라비아, 태국과의 승점 동률 상황에서 상대 전적 우위로 2위를 차지하여 8강에 진출했다.
B, C, D조의 결과는 각각 다음과 같다.
조 | 1위 | 2위 | 3위 | 4위 |
---|---|---|---|---|
B조 | 일본 (3승, 승점 9점)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2무 1패, 승점 2점) | 사우디아라비아 (2무 1패, 승점 2점) | 태국 (2무 1패, 승점 2점) |
C조 | 아랍에미리트 (2승 1무, 승점 7점) | 요르단 (1승 2무, 승점 5점) | 오스트레일리아 (1승 1무 1패, 승점 4점) | 베트남 (3패, 승점 0점) |
- B조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우디아라비아, 태국은 승점이 같아 각 팀 간의 전적으로 순위가 결정되었다.
6. 1. 순위 결정 방식
팀 순위는 승점(승리 시 3점, 무승부 시 1점, 패배 시 0점)에 따라 결정되었다. 승점이 동률인 경우, 다음 순서에 따라 순위가 결정되었다.[12]# 해당 팀 간의 조별 리그 경기에서 얻은 승점이 많은 팀
# 해당 팀 간의 조별 리그 경기에서의 골득실
# 해당 팀 간의 조별 리그 경기에서 득점이 많은 팀
# 기준 1~3을 적용한 후에도 팀 순위가 동률일 경우, 기준 1~3을 해당 팀 간의 경기에만 다시 적용하여 최종 순위를 결정한다. 이 절차로도 결정되지 않을 경우, 기준 5~9를 적용한다.
# 모든 조별 리그 경기의 골득실
# 모든 조별 리그 경기에서 득점이 많은 팀
# 두 팀만 남고 경기장에 모두 남아있을 경우 승부차기
# 조별 리그 경기에서 받은 옐로우 카드와 레드 카드의 수에 따라 계산된 점수가 적은 팀 (단일 옐로우 카드 1점, 두 번의 옐로우 카드로 인한 레드 카드 3점, 직접 레드 카드 3점, 옐로우 카드 이후 직접 레드 카드 4점)
# 추첨[29]
6. 2. A조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일본 | 3 | 3 | 0 | 0 | 7 | 1 | +6 | 9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3 | 0 | 2 | 1 | 5 | 6 | -1 | 2 |
사우디아라비아 | 3 | 0 | 2 | 1 | 5 | 6 | -1 | 2 |
태국 | 3 | 0 | 2 | 1 | 3 | 7 | -4 | 2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우디아라비아, 태국은 승점이 같아 각 팀 간의 전적으로 순위가 결정되었다. 그 결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조 2위로 8강전에 진출했다.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2 | 0 | 2 | 0 | 5 | 5 | 0 | 2 |
사우디아라비아 | 2 | 0 | 2 | 0 | 4 | 4 | 0 | 2 |
태국 | 2 | 0 | 2 | 0 | 3 | 3 | 0 | 2 |
; 경기 결과
일시 | 팀 1 | 결과 | 팀 2 | 경기장 | 관중 수 |
---|---|---|---|---|---|
2016년 1월 13일 | 일본 | 1 – 0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그랜드 하마드 스타디움, 도하 | 1,531명 |
2016년 1월 13일 | 사우디아라비아 | 1 – 1 | 태국 | 그랜드 하마드 스타디움, 도하 | 878명 |
2016년 1월 16일 | 태국 | 0 – 4 | 일본 | 그랜드 하마드 스타디움, 도하 | 1,674명 |
2016년 1월 16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3 – 3 | 사우디아라비아 | 그랜드 하마드 스타디움, 도하 | 989명 |
2016년 1월 19일 | 사우디아라비아 | 1 – 2 | 일본 | 카타르 SC 스타디움, 도하 | 807명 |
2016년 1월 19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2 – 2 | 태국 | 그랜드 하마드 스타디움, 도하 | 1,421명 |
6. 3. B조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일본 | 3 | 3 | 0 | 0 | 7 | 1 | +6 | 9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3 | 0 | 2 | 1 | 5 | 6 | -1 | 2 |
사우디아라비아 | 3 | 0 | 2 | 1 | 5 | 6 | -1 | 2 |
태국 | 3 | 0 | 2 | 1 | 3 | 7 | -4 | 2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우디아라비아, 태국은 승점이 같아 각 팀 간의 전적으로 순위가 결정되었다. 그 결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조 2위로 8강전에 진출했다.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2 | 0 | 2 | 0 | 5 | 5 | 0 | 2 |
사우디아라비아 | 2 | 0 | 2 | 0 | 4 | 4 | 0 | 2 |
태국 | 2 | 0 | 2 | 0 | 3 | 3 | 0 | 2 |
- ---
- 1차전
- * 2016년 1월 13일
- ** 일본 1 : 0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그랜드 하마드 스타디움, 도하)[1]
- ** 우에다 나오미치|우에다일본어 골
- ** 사우디아라비아 1 : 1 태국 (그랜드 하마드 스타디움, 도하)[2]
- ** 모함메드 알사이아리|알사이아리ar 골 (사우디아라비아)
- ** 피뇨 인피닛|피뇨th 골 (태국)
- 2차전
- * 2016년 1월 16일
- ** 태국 0 : 4 일본 (그랜드 하마드 스타디움, 도하)[3]
- ** 스즈키 무사시|스즈키일본어 골
- ** 야지마 신야|야지마일본어 골
- ** 구보 유야|구보일본어 2골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3 : 3 사우디아라비아 (그랜드 하마드 스타디움, 도하)[4]
- ** 김용일, 윤일광, 장국철 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 모하메드 칸노|칸노ar, 파하드 알무왈라드|알무왈라드ar, 압둘라흐만 알감디|알감디ar 골 (사우디아라비아)
- 3차전
- * 2016년 1월 19일
- ** 사우디아라비아 1 : 2 일본 (카타르 SC 스타디움, 도하)[5]
- ** 압둘라 마두|마두ar 골 (사우디아라비아)
- ** 오시마 료타|오시마일본어, 이데구치 요스케|이데구치일본어 골 (일본)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2 : 2 태국 (그랜드 하마드 스타디움, 도하)[6]
- ** 김용일 골, 토사왓 림완나사티안|토사왓th 자책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 나루바딘 웨라왓노돔|나루바딘th, 차나팁 송끄라신|차나팁th 골 (태국)
6. 4. C조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일본 | 3 | 3 | 0 | 0 | 7 | 1 | +6 | 9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3 | 0 | 2 | 1 | 5 | 6 | -1 | 2 |
사우디아라비아 | 3 | 0 | 2 | 1 | 5 | 6 | -1 | 2 |
태국 | 3 | 0 | 2 | 1 | 3 | 7 | -4 | 2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우디아라비아, 태국은 승점이 같아 각 팀 간의 전적으로 순위가 결정되었다. 그 결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조 2위로 8강전에 진출했다.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2 | 0 | 2 | 0 | 5 | 5 | 0 | 2 |
사우디아라비아 | 2 | 0 | 2 | 0 | 4 | 4 | 0 | 2 |
태국 | 2 | 0 | 2 | 0 | 3 | 3 | 0 | 2 |
- ---
;ウエダ ナオミチ|우에다 나오미치일본어 (일본)
: 2016년 1월 13일에 열린 일본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경기에서 우에다 나오미치의 선제골로 일본이 1-0으로 승리했다.[1]
;محمد السیری|모함메드 알사이아리ar (사우디아라비아) vs ปกรณ์ เปรมภักดิ์|피뇨 인피닛th (태국)
: 2016년 1월 13일에 열린 사우디아라비아와 태국의 경기에서 모함메드 알사이아리의 득점으로 사우디아라비아가 앞서갔지만, 피뇨 인피닛에게 실점하며 1-1 무승부를 기록했다.[2]
;鈴木 武蔵|스즈키 무사시일본어, 矢島 慎也|야지마 신야일본어, 久保 裕也|구보 유야일본어 (일본)
: 2016년 1월 16일에 열린 태국과 일본의 경기에서 스즈키 무사시, 야지마 신야, 구보 유야에게 연속 실점하며 태국이 0-4로 패배했다.[3]
;김용일 (축구 선수)|김용일한국어, 윤일광|윤일광한국어, 장국철|장국철한국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vs محمد كنو|모하메드 칸노ar, فهد المولد|파하드 알무왈라드ar, عبد الرحمن الغامدي|압둘라흐만 알감디ar (사우디아라비아)
: 2016년 1월 16일에 열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사우디아라비아의 경기에서 김용일, 윤일광, 장국철의 득점에도 불구하고, 모하메드 칸노, 파하드 알무왈라드, 압둘라흐만 알감디에게 실점하며 3-3 무승부를 기록했다.[4]
;عبد الله مادو|압둘라 마두ar (사우디아라비아) vs 大島 僚太|오시마 료타일본어, 井手口 陽介|이데구치 요스케일본어 (일본)
: 2016년 1월 19일에 열린 사우디아라비아와 일본의 경기에서 압둘라 마두의 페널티킥 실점 이후, 오시마 료타와 이데구치 요스케에게 연속 실점하며 사우디아라비아가 1-2로 패배했다.[5]
;김용일 (축구 선수)|김용일한국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ทศวรรษ ลิ้มวรรณเสถียร|토사왓 림완나사티안th (태국, 자책골) vs นฤบดินทร์ วีรวัฒโนดม|나루바딘 웨라왓노돔th, ชนานันท์ ป้อมบุปผา|차나팁 송끄라신th (태국)
: 2016년 1월 19일에 열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태국의 경기에서 김용일의 선제골과 토사왓 림완나사티안의 자책골에도 불구하고, 나루바딘 웨라왓노돔과 차나팁 송끄라신에게 실점하며 2-2 무승부를 기록했다.[6]
6. 5. D조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일본 | 3 | 3 | 0 | 0 | 7 | 1 | +6 | 9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3 | 0 | 2 | 1 | 5 | 6 | -1 | 2 |
사우디아라비아 | 3 | 0 | 2 | 1 | 5 | 6 | -1 | 2 |
태국 | 3 | 0 | 2 | 1 | 3 | 7 | -4 | 2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우디아라비아, 태국은 승점이 같아 각 팀 간의 전적으로 순위가 결정되었다. 그 결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조 2위로 8강전에 진출했다.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2 | 0 | 2 | 0 | 5 | 5 | 0 | 2 |
사우디아라비아 | 2 | 0 | 2 | 0 | 4 | 4 | 0 | 2 |
태국 | 2 | 0 | 2 | 0 | 3 | 3 | 0 | 2 |
날짜 및 시간 (UTC+03) | 경기 | 경기장 |
---|---|---|
2016년 1월 13일 16:30 | 일본 1 – 0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그랜드 하마드 스타디움, 도하 |
2016년 1월 13일 19:30 | 사우디아라비아 1 – 1 태국 | 그랜드 하마드 스타디움, 도하 |
2016년 1월 16일 16:30 | 태국 0 – 4 일본 | 그랜드 하마드 스타디움, 도하 |
2016년 1월 16일 19:30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3 – 3 사우디아라비아 | 그랜드 하마드 스타디움, 도하 |
2016년 1월 19일 16:30 | 사우디아라비아 1 – 2 일본 | 카타르 SC 스타디움, 도하 |
2016년 1월 19일 16:30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2 – 2 태국 | 그랜드 하마드 스타디움, 도하 |
7. 결선 토너먼트
토너먼트에서는 필요한 경우 승자를 결정하기 위해 연장전과 승부차기를 사용했다.[1] 승리한 팀은 2016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본선에 진출했다.[1]
8강전은 2016년 1월 22일과 23일에, 준결승전은 1월 26일에, 3·4위전은 1월 29일에, 결승전은 1월 30일에 각각 진행되었다.
8강전 | 준결승전 | 결승전 | 3·4위전 | |||
---|---|---|---|---|---|---|
2016년 1월 22일 알 라이얀 | |2 - 1 (연장전)| 2016년 1월 26일 알 라이얀 | |1 - 3 | 2016년 1월 30일 도하 | |2 - 3 | 2016년 1월 29일 알 라이얀 | |1 - 2 (연장전) |
2016년 1월 23일 도하 | 1 - 0 | 2016년 1월 26일 도하 | 2 - 1 | |||
2016년 1월 22일 도하 | 3 - 0 (연장전) | |||||
2016년 1월 23일 도하 | 1 - 3 (연장전) |
7. 1. 8강전
(연장)(연장)
(연장)